Practice
-
포스트맨(Postman)으로 API 테스트Practice/Tool 2021. 1. 28. 17:51
입사한 후로 자사 제품을 더 잘 알기 위해 QA(Quality Assurance)를 진행하고 있다. 말이 QA지 작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나씩 따라 실행해보며 제품 기능을 익히는 것이 주력이다. 그러면서 기능이 작동하지 않거나 에러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내가 QA를 진행하는 제품은 최근 패치를 마쳐 프론트 단에서의 에러가 조금 있다.) API 테스트를 하며 포스트맨(Postman)이라는 API 테스트 도구를 처음 사용해보게 되었다. 포스트맨 사용 후기 겸 간략한 사용법을 적고자 한다. API 테스트? API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API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다. 웹 API의 경우 키, 값을 URL로 리퀘스트 하면 값이 반환된다. 제대로 된 리턴 값이 반환되는지를 확인해..
-
[Spring 게시판](4) 게시글 목록 구현Practice 2020. 12. 4. 01:32
기본적인 설정은 끝났으니, 게시글 목록을 구현하고자 한다. 일종의 메인 페이지 기능으로 현재 서버에 올라와있는 게시글들을 전체보기 할 수 있는 기능이다. CRUD 중 R(Read : 조회)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1. VO 만들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담기 위한 객체인 VO(Value Obeject)를 만든다. src/main/java 경로에 새로운 패키지 com.board.domain 패키지를 생성한다. com.board.domain 패키지 안에는 BoardVO 자바 파일을 생성한다. 주석처리한 부분은 테이블 생성 SQL 구문이다. 컬럼 명을 기억하기 쉽기 위해 주석으로 가지고 왔다. 이제 자료를 담을 변수와 getter / setter 메소드를 생성해준다. regDate 같은 경우 Dat..
-
[Spring 게시판](3) 스프링에 오라클&마이바티스 연결Practice 2020. 12. 3. 03:05
아직까지 설정이 안끝났다. 이제 스프링과 오라클, 마이바티스를 연결하려고 한다. 예전에 프로젝트 할 때는 기본 설정을 다른 팀원이 해 직접 스프링 설정을 마무리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번에는 스스로 구글링을 통해 정보를 찾아보며 스프링 설정을 마무리 하려고 한다. 1. log4jdbc.log4j2.properties파일 생성 log4jdbc의 정체를 몰라서 알아보았다. 검색해보니 로그를 생성하고 쿼리를 정렬해주는 역할인 듯 싶다. log4jdbc에 연결하기 위해서 해당 파일이 필요하다. 참고: tsop.tistory.com/30 09. 스프링에서 myBatis사용하여 mySQL db연동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myBatis사용하여 mySQL db연동하는 방법 결론적으로 아래와 같이 파일구성이 되야한다. 예제..
-
[Spring 게시판](2) DB 설정 및 테이블 만들기 (Oracle)Practice 2020. 12. 1. 00:44
이번에는 DB를 설정하고 기본 board 테이블을 만드려고 한다. 사용한 DBMS : Oracle 1. 계정 만들기 및 권한 부여 SYS 계정으로 접속해 board 라는 계정을 만들고 권한을 부여했다. 게시물 테이블을 만들려고 한다. 게시물은 CRUD가 가능하게 만들 예정이고, 조회수가 카운트되게 기능을 구현할 예정이다. 파일/사진 첨부는 기본 게시판이기에 현재는 구현하지 않을 예정. 후에 추가하거나 Spring 프로젝트 시작하면 돌입할까한다. 2. 테이블 생성 및 시퀀스 만들기 board 테이블을 생성했다. 필요한 컬럼은 아래의 6개다. 게시글넘버(BDNUM) 글제목(BDCOUNT) 내용(CONTENT) 작성자(WRITER) 등록일자(REGDATE) 조회수(HITCOUNT) 테이블 생성. 중간에 HIT..
-
[Spring 게시판] (1) Spring 환경 설정 및 Tomcat연동 / github 연동Practice 2020. 11. 30. 23:58
Spring으로 개인 프로젝트를 하기로 했다. 그런데 아무래도 오랜만에 프로젝트를 하려니, 손에 익지 않아서 기본적인 게시판을 만들어보고 쇼핑몰을 진행하기로 했다. 예전에 학원에서 배울 때는 게시판의 페이징 처리가 어려웠는데, 이번에는 혼자서 진행하며 페이징 처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한다. 1. Spring 개발 환경 세팅 Spring 3을 이용해 게시판을 구축하려고 한다. IDE는 이클립스를 사용하는데, 구글링을 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Spring 에서 제공하는 STS를 쓰는 것을 알게되었다. STS는 이클립스 플러그인 확장을 통해 설치할 수 있고 Maven이 자동 내장되어 있어 Maven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게 장점이다. 자주 사용하는 Spring 패턴들 템플릿 형태로 제공해 빠른 개발이 가능..